본문 바로가기

서버
(51)
JSP 내장 객체 - Session, Application // Session - 웹 사이트의 여러 페이지에 걸쳐 사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닫아 서버와의 연결을 끝내는 시점까지가 시점 - 현재 사용자 - 서버 상에 객체로 존재한다. > 서버에셔만 접근이 가능하여 보안이 좋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에 한계가 없다. ~ getID() : 각 접속에 대한 세션 고유의 id를 문자열 형태로 반환 ~ getCreationTime() : 세션이 생성된 시간을 밀리세컨드 값으로 반환 ~ getLastAccessedTime() : 현재 세션으로 마지막 작업한 시간 반환(1970-01-01을 시작으로 하는 밀리초) ~ getMaxInactiveInterval() : 세션 유지 시간을 초로 반환 ~ setmaxInactiveInterval(t..
JSP 내장 객체 - request, response, pageContext // JSP(Servlet) 내장 객체, JSP Implicit Object - 개발자가 직접 생성하는 객체가 아니라, JSP(톰캣)가 미리 만들어서 제공하는 객체 - 예약어 형태로 제공 ~ request, response, session, pageContext ★★★★4가지 매우 중요★★★★ ~ out, application ~ config, page, exception 등 ~ pageContext, request, session, application - 객체 내부에 사용자(개발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저장소(컬렉션)를 가진다.★★★★ - 내장객체.setAttribute(key, value) - 내장객체.getAttribute(key) 1. request(입력 도구) : HttpServletReques..
JSP 구성 요소 - 액션 태그 //액션 태그, Action Tags - JSP 페이지 내에서 어떤 동작을 하도록 지시하는 태그 a. 기본 액션 태그 b. 확장 액션 태그 c. 사용자 정의 액션 태그 // 기본 액션 태그 1. forward -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특정 페이지로 전환할 때 사용한다. - URL은 현재 페이지가 유지된다. main.jsp 페이지입니다. sub.jsp 페이지입니다. 2. include - 현재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를 삽입할 때 사용한다. include1.jsp 페이지입니다. 다시 include1.jsp 페이지입니다. include2.jsp 페이지입니다. 3. param - forward 및 include 태그에 데이터 전달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태그 - name과 value로 이루어져 있다. param_fo..
JSP 구성 요소 - JSP 지시자 // JSP 지시자, JSP Directive - 톰캣에게 JSP 페이지와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을 알려주는 역할 > 환경설정 - JSP 페이지의 전체적은 속성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 - page 지시자 - include 지시자 - taglib 지시자 // page 지시자 - JSP 페이지의 전체적인 속성 지정 ~ - language="java" : 현재 페이지를 처리하는 서버측 언어가 java임을 안내 -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브라우저에게 돌려줄 임시페이지에 관련된 설정 - pageEncoding="UTF-8" : 현재 JSP 페이지의 인코딩 ~ : 자바의 import ~ errorPage="URL" : 오류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URL로 이동. 오..
JSP 구성 요소 - 스크립트 // JSP 구성 요소 - 스크립트 요소 - JSP 지시자 - 액션 태그 // 스크립트 요소, Scripting Elements a. 스크립틀릿 ~ - 이 영역은 자바 영역임을 선언 - 순수 자바 코드를 HTML 페이지에서 작성할 수 있도록 선언 - Scriptlet = Script + Applet - 대부분의 비즈니스 코드 작성 담당(대부분의 업무 + 알고리즘 구현) - 가장 중요한 역할 b. 익스프레션 ~ - 자바의 값을 HTML 문서에 츨력한다. - 값이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다. c. 선언부 ~ - JSP 페이지 내에서 사용되는 변수 또는 메서드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 선언부 내에서 선언된 변수 및 메서드는 전역 멤버이다. + = 결과: 결과:
Servlet Parameter // Servlet Parameter - HTML form 태그의 submit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면, Servlet에서는 HttpServletRequest 객체를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Parameter)를 얻을 수 있다. // doPost - 데이터를 url에 붙일 필요 없이 전송할 수 있다. ~ 결과 주소 : http://localhost:8090/Servlet_parameter/formpost - HttpServletRequest 객체의 setCharacterEncoding() 메서드를 활용하여 한글 인코딩을 해주어야 한다. req.setCharacterEncoding("UTF-8"); 이름 : 아이디 : 비밀번호 : 취미 : 독서 요리 산책 수영 음악 감상 좋아하는 과목 : 국..
Servlet 생명주기 //Servlet 생명주기(Life Cycle) - Servlet은 최초 요청 시 객체가 만들어져 메모리에 로딩되고, 이후 요청 시에는 기존의 객체를 재활용한다. 1. Servlet 객체 생성 > 최초 한 번 1.5. 선처리: @PostConstruct 2. Init() 호출 > 최초 한 번 3. service(), doGet(), doPost() 호출 > 요청 시 매번 4. destroy() 호출 > 마지막 한 번 (자원 해제: servlet 수정, 서버 재가동 등) 4.5. 후처리:@PreDestroy package com.servlet.ex;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
Servlet-JSP GET 방식, POST 방식 // GET 방식 - 데이터를 URL에 붙여서 전송 > 인코딩 규칙: URL 규칙에 따름 > 보안에 약함 1. 2. XMLHttpRequest(Ajax) 3. 4. location.href 5. F5(새로고침) 6. URL 직접 입력 package com.sorrelcalc.web;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