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결정=비교문=분기문 :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여 코드블록을 수행할지 말지 결정함.
'''
1. if문
2. if, else문
3. if, elif 문
'''
========================================================================================
'''
IF문
o이 아니거나 NULL이 아니면 TRUE
o 이거나 NULL이면 FALSE로 처리함.
IF문과 IF ELSE문이 있음.
IF문 안에 IF문이 있을 수 있음.
- 문법
If 표현식:
수행코드
'''
a = 6
if ( a > 5) :
print("a는 5보다 큽니다.")
if ( a > 10 ) :
print("는 10보다 큽니다.") #출력x
#if문 안에 또다시 if문 사용 가능
a = 10
if (a > 3) :
if (a > 7):
print("ok")
========================================================================================
'''
IF.. ELSE문
ELSE문 단독으로 사용 불가하며 if문에 종속적으로 사용됨.
- 문법
If 표현식:
수행코드
Else:
수행코드
'''
b = 10
if (b > 5) :
print("b는 5보다 큽니다.")
else :
print("b는 5보다 작습니다.")
========================================================================================
'''
if... elif 문
elif로 여러 개의 조건을 쓸 수 있다.
여러 개 만족해도 제일 처음 만족하는 것 하나 출력
'''
c = 10
if (c > 10) :
print("c는 10보다 큽니다.")
elif ( c > 7 ) :
print("c는 7보다 큽니다.")
elif ( c > 5 ) :
print("c는 5보다 큽니다.")
else :
print("else문입니다.\n\n")
========================================================================================
'''
점수가 90점 이상이면 A학점
90점 미만, 80점 이상이면 B학점
80점 미만, 70점 이상이면 C학점
나머지는 F학점 출력
'''
score = 70
if (score >= 90) :
print("A학점입니다.\n")
elif ( score >= 80) :
print ("B학점입니다.\n")
elif ( score >= 70) :
print ("C학점입니다.\n")
else :
print ("F학점입니다. ㅠㅠ\n")
# if문만 이용해서
if (score >= 90) :
print("A학점입니다.\n")
if (score >= 80 and score < 90) :
print("B학점입니다.\n")
if (score >= 70 and score < 80) :
print("C학점입니다.\n")
if (score < 70) :
print("F학점입니다.ㅠㅠ\n")
#if문 속 if문
if (score >= 70):
print("C학점")
if (score >= 80):
print("B학점")
if (score >= 90):
print("A학점")
else :
print("F학점")
========================================================================================
#생년월일을 변수에 입력하여 미성년자인지 아닌지 출력 - 19살 이하면 미성년자, 19살 초과면 성인
birth = 2012
age = 2022 - birth
print(age)
if(age <=19 ) :
print("미성년자입니다.")
else :
print("성인입니다.")
========================================================================================
#BMI 측정결과 출력
height = 162
weight = 48
BMI = weight / ((height/100)**2)
if (BMI >= 30) :
print("비만입니다.\n")
elif (BMI >= 25) :
print("과체중입니다.\n")
elif (BMI >= 20) :
print("정상입니다.\n")
else :
print("저체중입니다.\n")
========================================================================================
'''
반복문 - for 문 : 반복할 횟수가 정해져 있을 경우
- 문법
for 반복변수 in 순차항목:
수행코드
'''
#range() 내장함수 : 숫자 목록을 만들어 준다.
a = range(10) # 0~9 : 10개
print(a)
b = range(3, 8) # 3~7 : 5개
print( list(b) )
c = range(0, 10, 2) #0~9까지, 2씩 뛰어세며 : 5개
print( list(c),"\n" )
for i in range(5) :
print(i)
print("\n")
for i in [1, 2, 'a', 3.14, 10] :
print(i)
print("\n")
for i in "hello" :
print(i)
print("\n")
for i in (1, 2, 3, 'b') :
print(i)
print("\n")
a = ["one", "two", "three"]
for i in a :
print(i)
print("\n")
for i in range( len(a) ) :
print(a[i])
print("\n")
========================================================================================
반복문 - while 문 : 특정 조건이 참일 때까지 반복
#화면에 안녕하세요를 3번 출력하세요.
count = 0
while ( count < 3 ) :
print("안녕하세요")
count = count + 1
print("종료\n")
========================================================================================
'''
#주민번호가 주어졌을 때 남자인지 여자인지 알아내는 방법..
1 : 90년대생 남자
2 : 90년대생 여자
3 : 00년대생 남자
4 : 00년대생 여자
'''
ssn = "980117-2345678"
'''
if (ssn[7] == '1') :
print("90년대생 남자입니다.\n")
if (ssn[7] == '2') :
print("90년대생 여자입니다.\n")
if (ssn[7] == '3') :
print("00년대생 남자입니다.\n")
if (ssn[7] == '4') :
print("00년대생 여자입니다.\n")
'''
'''
if (ssn[7] == '1') :
print("90년대생 남자입니다.\n")
elif (ssn[7] == '2') :
print("90년대생 여자입니다.\n")
elif (ssn[7] == '3') :
print("00년대생 남자입니다.\n")
elif (ssn[7] == '4') :
print("00년대생 여자입니다.\n")
'''
if ( int(ssn[7]) % 2 == 0 ) :
print("여자입니다.\n")
else :
print("남자입니다.\n")
========================================================================================
#다중 반복문: 반복문 안에 반복문이 있는 구조
print("hello", end=', ')
print("python", end=',')
#구구단
for i in range(2,10) : #단수(2단, 3단 ...)
for j in range(1,10) : #곱하는 수
print(i, "x", j, "=", i*j, end='\n')
print("\n")
**이스케이프 문자 : 눈에 안 보이는 문자
\n:줄바꿈, \t:탭, \s:스페이스, \r:캐리지리턴-커서를 맨 앞으로 옮김, \" : 문장 내 따옴표 , \\ : 문장 내에서 \ 역할, /b:백스페이스(한 글자 삭제)
========================================================================================
** True, False를 변수에 넣다보니 완전히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꽤 걸렸다.
========================================================================================
#break 문: 반복의 종료
for i in range(0,10,2) :
if (i > 6) :
break
print(i, end=' ')
for i in range(5) :
if ( i > 3) :
break
print(i, end=' ')
for i in range(5) :
if ( i > 3 ) :
print(i, end=' ')
========================================================================================
#continue 구문 : 반복의 단계를 건너뜀
for i in range(0,10,2) :
if (i == 6) :
continue
print(i, end=' ') # 6 건너뜀!!
#for...else 문
- for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면 else: 부분을 실행한다.
- 만약 break로 중간에 멈춘다면 else: 부분을 실행하지 않는다.
for i in range(1, 11):
print(i)
if i == 5 :
break
else:
print(11)
for i in range(1, 11):
print(i)
if i > 15 :
break
else:
print(11)
'파이썬(PYTHON)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 디렉토리, 예외 처리 (0) | 2022.07.17 |
---|---|
[파이썬(Python)] 사용자 정의 함수(def), 모듈, 파일 입출력 (0) | 2022.07.16 |
[파이썬(Python)] 함수 - 리스트, 튜플, 딕션너리(사전), 시간 (0) | 2022.07.10 |
[파이썬(Python)] 함수 - 숫자, 랜덤, 문자열 + 문자열 포맷 (0) | 2022.07.09 |
[파이썬(Python)] 자료형, 형변환, 연산자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