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컴퓨터를 옮겨다니면서 작업할 일이 많은데, 코드는 깃허브로 관리하지만 DB를 그때그때 구축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S3에 이미지 올려서 관리하는 김에 DB까지 AWS에서 관리해 보기로 했다.
RDS를 들어가서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선택한다.
표준 생성을 선택하고 원하는 DB를 선택한다.
나는 로컬에서도 PostgreSQL을 사용 중이기 때문에 PostgreSQL 선택!
AWS 계정을 가입한 지 1년이 되지 않았다면 프리티어를 사용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티어를 선택한다.
DB 인스턴스 식별자와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변경하고자 하면 변경할 수 있다.
마스터 암호는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DB에 접속할 때 꼭 필요하니 잊으면 안 된다.(노출도 xx)
프리티어를 선택했을 경우 기본으로 설정되는 부분이다.
그대로 두고 넘어간다.
스토리지 자동 조정이 접혀 있는데, 펼쳐 보면 자동 조정 활성화에 체크되어 있다.
과금 예방을 위해 체크 해제해준다.
EC2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DB만 사용할 경우)
VPC와 서브넷 그룹은 기본으로 선택한다.
★ ★ ★ 퍼블랙 엑세스 기본이 아니요인데, 꼭 예로 체크해주어야 한다.(안 그러면 connection time out..)
보안 그룹은 기존 항목에서 default를 선택해도 되지만,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새로 생성해 주는 것이 좋다.
모니터링에서 성능 인사이트 켜기에 체크되어 있는 것을 해제해 준다.
★★ 초기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정해준다.
추가 구성이 접혀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설정하지 않고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럼 당연히 DB가 생성되지 않아 연결할 수 없다.
나중에 해줄 수도 있는데, 여기서 지정해 주는 것이 편하다.
데이터베이스 생성은 시간이 꽤 걸린다.
차분히 기다리자..(하지만 너무 오래 걸려😣😣)
생성되면 엔드포인트가 보일 것이다.
DBeaver에서 Host에 엔드포인트를 입력해 준다.
Database, Username, Password도 입력한 것으로 바꿔주고 Test 를 해주면?
에....러......
먼저 아까 퍼블릭 액세스 가능에 아니요를 선택했다면 가능으로 수정해 준다.
다음으로는 보안 그룹으로 이동한다.
인바운드 규칙을 눌러 허용 IP를 추가해준다.
나는 지금 모두 열어뒀는데, 딱 특정 IP만 허용하는 것이 보안 상 좋다.
다음으로는 VPC 콘솔에서 Route tables로 이동한다.
RDS 관련 테이블을 선택한 후 라우팅 편집 클릭.
인바운드 규칙 추가하듯 원하는 ip를 추가해 준다.
대상은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선택한다.
그러면 자동으로 igw가 입력되고 밑에 뜨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오류 해결의 빛... 압도적 감사를... > https://gksdudrb922.tistory.com/240
이제 진짜 성공!
참고로 수정사항이 바로 반영되지는 않기 때문에 조금 기다렸다가 다시 Test를 시도해 보기!
수정했는데 계속 오류라 당황할 수 있습니다..(제 얘기 맞아요😂)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erver Error error: no pg_hba.conf entry for host "", user "", database "", no encryption PostgreSQL 연결 에러 해결 (0) | 2024.03.05 |
---|---|
[AWS] EC2 인스턴스 생성 (0) | 2023.10.15 |
[AWS] S3 이미지 삭제(+ CKEditor5) (1) | 2023.10.12 |
[AWS] S3 이미지 업로드(+ CKEditor5) (1) | 2023.10.12 |